티스토리 뷰

목차



     

    “65세 넘었으니 기초연금은 당연히 받는 거 아니야?” 그렇게 생각했다가 깜짝 놀라시는 분들, 정말 많습니다. 왜냐하면 기초연금은 단 한 번의 기준 초과로도 갑자기 지급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5년부터 기초연금의 소득인정액 기준이 인상되었지만, 기준이 완화된 만큼 심사도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소득인정액 기준을 정확히 모르고 신청하거나 재산 기준을 착각한 채 차량이나 통장 상태를 방치하면, 이미 수급 중인 분들도 기초연금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재산 기준은 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부분입니다. 공동명의 자동차, 오래된 콘도회원권, 3천만 원 넘는 적금조차도 소득인정액 기준 계산 시 포함되기 때문에, 본인은 해당 사항 없다고 생각해도 기초연금 탈락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이 글에서는 기초연금 신청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소득인정액 기준, 실제 사례로 살펴보는 재산 기준 함정, 놓치기 쉬운 기초연금 탈락 요인까지 전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단 1만 원 초과한 예금, 오래된 자동차 한 대 때문에 기초연금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모르고 있다가 후회하지 마세요. 지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025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지급됩니다. 그 기준이 바로 소득인정액인데요,
    소득인정액이 아래 기준 이하일 경우만 기초연금 대상자가 됩니다.


    구분 2024년 2025년
    단독가구 213만 원 228만 원
    부부가구 340만8천 원 364만8천 원

     

    ✅ 즉, 단독가구의 월 소득인정액이 228만 원 이하일 경우만 대상
    ✅ 부부가구는 364만8천 원 이하까지 가능


    2. 기초연금,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

    2025년부터 지급액도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월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 34만2,510원
    부부가구 54만8,000원

     

    💡 단, 소득이 높거나 다른 연금을 받고 있다면 감액 지급 또는 탈락 가능


    3. 소득인정액 계산,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에는

    • 근로소득
    • 연금소득
    • 사업·임대소득
    • 공적이전소득
      이 모두 포함됩니다.

    ✅ 재산의 소득환산액에는

    • 일반재산(부동산 등)
    • 금융재산(예금·적금·주식 등)
    • 자동차
    • 고급회원권

    이렇게 구성되며, 공제 기준도 따로 있습니다.

     

     

     

     


    4. 금융재산 기준 – 통장에 얼마까지 있어야 탈락 안 하나요?

    👉 금융재산은 2,000만 원까지 공제됩니다.
    👉 그 이상 금액은 연 4% 소득으로 환산하여 월 소득에 더합니다.

    금융재산 총액 소득인정액으로 환산 시
    7억 원 약 226만 원 (단독가구 수급 가능)
    8억 원 약 260만 원 (단독가구 탈락 가능성 ↑)

     

    ※ 단독가구 기준, 다른 소득/재산이 없을 경우 계산

     

    ⚠️ 예금이 많지 않더라도, 주식·보험·펀드 등도 모두 포함되니 반드시 확인!


    5. 고급자동차·회원권 보유 시 무조건 탈락

    4천만 원 이상 차량, 골프·콘도·승마 등 고급회원권은 기초연금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 고급자동차

    • 차량가액 4,000만 원 이상이면 전액 소득으로 환산
    • 단 10년 이상 생업용 차량은 예외
    • 공동명의 차량도 전액 본인 소득으로 간주됨

    예: 자녀 보험료 아끼려고 공동명의 등록 → 부모님 연금 탈락!

     

    🏌️ 고급회원권

    • 골프, 승마, 콘도 회원권 등
    • 전액 월 소득으로 간주됨
    • 기본 재산공제도 제외

    예: 예전에 1천만 원 주고 산 콘도 회원권 → 월 소득 100만 원 산정됨


    6. 이런 경우에도 조심하세요

    ✅ 리스 차량 보유 시 → 보증금이 일반재산으로 반영
    ✅ 자동차 2대 보유 시 → 각 차량 개별로 4천만 원 이상 여부 판단
    ✅ 전기차 보조금은 차량가액에 포함됨
    ✅ 부모 지분 1%만 있어도 차량 전체가 본인 재산으로 간주됨

     

    ⚠️ 차량은 보험개발원 시세 기준으로 평가됨 (중고차 시세 아님 주의)

     

     

     

     


    7. 기초연금 탈락 방지 체크리스트

    ✔ 통장에 금융재산만 7억 원 이하?
    ✔ 고급차, 회원권 없는지 확인
    ✔ 차량 공동명의 여부 재검토
    ✔ 연금, 이자, 사업소득 합산 후 소득인정액 계산
    ✔ 본인 외 배우자 포함 소득까지 포함된다는 점도 유의


    결론 – 기초연금, 받는 것도 어렵고 유지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기초연금은
    👉 단순히 나이가 찼다고 받는 게 아닙니다.
    👉 ‘소득인정액’이라는 계산법을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2025년부터 선정 기준은 더 올라갔지만, 그만큼 고급 자산 보유자에 대한 심사도 더 엄격해졌습니다.

     

    ✅ 금융재산 많으면 환산 소득 높아짐
    ✅ 자동차·회원권 있으면 소득인정액 폭등
    ✅ 공동명의 실수 한 번이면 기초연금 탈락

     

    신청 전 반드시 재산·소득 전수점검 하시고, 모르면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상담센터 통해 상담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