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지급되는 생계급여가 역대급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아직도 많은 기초생활수급자가 잘못된 신청방법으로 지원금을 놓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올해부터 기초생활수급자의 생계급여는
최대 76만 원에서 195만 원까지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신청방법을 모르면 받을 수 없습니다. 대상이라도 신청방법을 제대로 모르면 실제로는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이미 현장에서 기초생활수급자 중에서도 올바른 생계급여 신청방법을 몰라 수급권을 놓친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한 번 신청만 하면 매달 꼬박꼬박 나오는 생계급여, 단순히 서류 몇 장만 챙기면 받을 수 있는 돈인데 아예 신청방법을 몰라서 버려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제대로 배우세요.
이번 글에서 정확한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자격과 생계급여 지급금액 그리고 반드시 챙겨야 할 신청방법 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지금 이 글을 끝까지 읽지 않으면 2025년 생계급여도, 당신의 수급권도 놓치게 됩니다.
1. 2025년 생계급여 지원금 인상 내용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에 지급됩니다. 2025년부터 인상된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생계급여 지급 금액도 대폭 오릅니다.
가구원 수 | 2024년 지급액 | 2025년 인상액 |
1인 가구 | 71만 원 | 76만5,444원 |
2인 가구 | 117만 원 | 125만8,451원 |
3인 가구 | 150만 원 | 160만8,113원 |
4인 가구 | 183만 원 | 195만1,287원 |
5인 가구 | 214만 원 | 227만4,621원 |
6인 가구 | 243만 원 | 258만7,738원 |
✅ 참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지급액도 크게 상승
2. 생계급여 지급방식
생계급여는 단순히 가구원 수별 금액을 지급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 소득에 따라 실제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지급액 = (가구별 선정 기준액) – (소득인정액)
예를 들어
- 1인 가구 소득 0원 → 76만5,444원 전액 지급
- 1인 가구 소득 50만 원 → (76만5,444 - 50만) = 26만5,444원 지급
✅ 생계급여는 실제 소득에 따라 차감 지급
✅ 소득인정액이 낮을수록 높은 급여 수령 가능
3. 생계급여 선정 기준 (2025년)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
1인 가구 | 약 76만5,444원 이하 |
2인 가구 | 약 125만8,451원 이하 |
3인 가구 | 약 160만8,113원 이하 |
4인 가구 | 약 195만1,287원 이하 |
✅ 소득인정액 산정 = (실제 소득 - 근로소득 공제) + 재산 소득환산액
✅ 근로소득자는 30% 공제 적용
4. 생계급여 신청방법
생계급여는 반드시 직접 신청해야 하며, 신청하지 않으면 대상이어도 절대 지급되지 않습니다.
✅ 신청처
-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방법
1️⃣ 상담사와 소득, 재산 확인
2️⃣ 신청서 작성 및 제출
3️⃣ 서류 심사 (약 30일)
4️⃣ 선정 통보 및 급여 지급
✅ 필요서류
-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및 재산 확인서류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5. 신청 TIP
✅ 근로소득 있는 분
→ 근로소득공제 30% 적용되므로
소득이 다소 높아도 신청할 가치 충분
✅ 주거급여·의료급여 탈락자
→ 생계급여 기준은 더 완화되어 선정 가능성 높음
✅ 기초생활수급자 신규 신청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동시 신청 가능
→ 수급자 자격으로 다른 복지사업도 자동 연계
6. 2025년부터 생계급여 확정 지급일
✅ 매달 18일 현금 지급
- 2025년 4월 18일부터 첫 인상분 반영
- 지급일이 공휴일이면 전일 지급
7. 생계급여 수급 시 주요 혜택
생계급여 수급자는 단순 현금 지원 외에도 다음과 같은 혜택이 연계됩니다.
- 국민건강보험료 전액 지원
- 에너지바우처, 긴급복지 지원 가능
- 각종 감면 (TV수신료, 전기요금, 통신요금 등)
-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
- 교육비, 교통비, 문화누리카드 추가 지원
결론 – 2025년 생계급여 신청방법 반드시 확인하세요
✅ 생계급여가 대폭 인상
✅ 1인가구 최대 76만 원, 4인가구는 195만 원 이상 지급
✅ 근로소득 공제로 기준 완화
✅ 신청자만 받을 수 있음
아직도 많은 분들이 “나는 안 될 거야”라고 포기하지만 소득인정액 계산하면 충분히 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청서 한 장으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그냥 놓치지 마세요.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로 지금 바로 상담받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