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부터 달라지는 주거급여와 교육급여, 그리고 정부의 정부지원금 정책이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이번 개편으로 1인 가구는 매월 36만 원, 다자녀 가구는 최대 86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동안 생계비와 교육비 부담이 컸던 분들에게는 정말 반가운 정부지원금 소식입니다.
특히 이번 정책은 단순히 주거비만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저소득 가구의 생활 안정과 자녀 교육비 부담까지 동시에 줄여주는 주거급여·교육급여 패키지 성격을 띠고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지금부터 2026년 달라지는 정부지원금 제도의 구체적인 지원 금액, 조건, 신청 방법까지 모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2026년 주거급여 개편 내용
주거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하나로, 저소득층의 월세나 주택 유지 비용을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개편에서 지원 금액이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 대상 기준
- 1인 가구: 중위소득 123만 834원 이하
- 4인 가구: 중위소득 311만 7,474원 이하
- 지역별 지원 금액
- 1급지(서울):
1인가구 36만 9,000원, 4인가구 57만 1,000원, 6인가구 69만 9,000원 - 2급지(경기·인천):
1인가구 30만 원, 4인가구 46만 3,000원, 6인가구 56만 8,000원 - 3급지(광역시·세종시 등):
1인가구 24만 7,000원, 4인가구 38만 1,000원, 6인가구 46만 3,000원 - 4급지(기타 지역):
1인가구 21만 2,000원, 4인가구 32만 원, 6인가구 40만 2,000원
👉 이처럼 가구 규모와 거주 지역에 따라 지원 금액이 세분화되었으며, 최대 86만 원까지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2. 주택 보수 지원 확대
자가 가구의 경우에는 집이 낡았을 때 주택 수선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보수: 590만 원
- 중보수: 1,950만 원
- 대보수: 1,601만 원
즉, 단순 임대료 지원뿐 아니라 노후 주택에 대한 실질적 보수 지원까지 포함되어 주거 환경 개선 효과가 큽니다.
3. 2026년 교육급여 확정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의 자녀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초등학생: 연 50만 2,000원
- 중학생: 연 69만 9,000원
- 고등학생: 연 86만 원 (무상교육 제외 학교의 경우 입학금·수업료·교과서 실비 지원 포함)
즉, 교육급여를 통해 학용품비와 교육비 걱정을 크게 덜 수 있으며, 고등학교 진학 시 부담이 가장 많이 줄어듭니다.
4. 신청 방법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가능
- 주거급여 콜센터(☎1600-0777) 문의 가능
👉 단, 반드시 본인의 소득·재산 요건 충족 여부를 확인 후 신청해야 합니다.
마무리 – 꼭 기억하세요
2026년부터 달라지는 주거급여, 교육급여, 정부지원금은 단순 보조가 아니라 생활 안정과 미래 교육까지 보장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 매월 36만 원~86만 원 지원
✔ 주택 보수 비용 최대 1,601만 원 지원
✔ 자녀 교육급여 연 최대 86만 원 지원
본인이 대상자에 해당한다면 올해 안에 꼭 자격 요건을 확인하시고 신청 준비를 해두시길 권장합니다.